|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2 | 3 | 4 | 5 | ||
| 6 | 7 | 8 | 9 | 10 | 11 | 12 |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 27 | 28 | 29 | 30 | 
- 감시 카메라
- 불길한 분위기
- 실험체
- 딜라이트
- 공장
- 키시미시
- 영화 리뷰
- 파피플레이타임
- 공포
- 미스 딜라이트
- 감정 실험
- 공포 게임
- 플레이타임 사
- vhs 테이프
- 인형의 비밀
- 파피의일기
- 어두운 복도
- 프로토타입
- 마미 롱 레그
- playcare
- 파피의 일기
- 플레이케어
- 플레이타임 코
- 파피 플레이타임
- 트럼프
- 실험의 끝
- 장난감 공장
- 장난감공장
- 미스터리
- 파피
- Today
- Total
목록2025/04 (19)
철지난 이야기
 일론 머스크가 사회보장 소통 창구를 ‘X’로 바꾼다면
      
      
        일론 머스크가 사회보장 소통 창구를 ‘X’로 바꾼다면
        관련 기사 링크 - https://www.tokenpost.kr/news/society/237523 美 사회보장국, 머스크 X 통해 대국민 소통 전면 전환…직원 7,000명 감축 - TokenPost미국 사회보장국(SSA)이 앞으로 모든 대국민 소통을 일론 머스크(Elon Musk)가 소유한 X 플랫폼을 통해 진행하기로 했다. 이는 머스크가 주도하는 정부 효율성 부처(DOGE)의 권고에 따라 SSA가 인력 구www.tokenpost.kr─ 온라인 효율성이라는 이름 뒤에 가려진 진짜 문제“모든 것이 온라인으로 연결된 세상에서,사회적 소통마저 디지털로만 국한된다면우리는 정말 효율적이라고 말할 수 있을까요?”얼마 전, 충격적인 뉴스 하나가 제 눈을 사로잡았습니다. 미국 사회보장국(SSA)이 앞으로 모든 공식적..
 효율은 감성을 대체할 수 있을까? ─ 스타벅스 키오스크 도입이 던지는 질문
      
      
        효율은 감성을 대체할 수 있을까? ─ 스타벅스 키오스크 도입이 던지는 질문
        “스타벅스에서 사람 냄새가 사라진다면, 그것은 더 이상 스타벅스가 아닐지도 모른다.”변화는 늘 조용하게 찾아온다4월 11일, 뉴스 한 줄이 포털을 지나갔습니다.‘스타벅스, 시범 매장에 키오스크 도입’관련 기사 링크 - https://news.nate.com/view/20250411n30321 스타벅스, 키오스크 카드 '만지작'…세계 최초 도입할까? : 네이트 뉴스한눈에 보는 오늘 : 경제 - 뉴스 : 스타벅스 코리아가 전 세계 매장 중 처음으로 키오스크 도입을 검토 중이다.스타벅스가 전 세계 매장 중 처음으로 키오스크 도입을 검토 중이다. 스타벅스 홈페news.nate.com한때 ‘사람과 사람의 온기’로 브랜드의 결을 만들던 스타벅스가,결국 ‘사람이 없는 편의’를 선택했다는 이 뉴스는,생각보다 무겁게 다..
 RE100 조별과제에서 자리를 빼앗기는 한전
      
      
        RE100 조별과제에서 자리를 빼앗기는 한전
        ‘직접 거래’ 시대에 놓인 인프라 구축 기업의 존재 이유“전력망은 누구의 것인가.그리고 그 대가를, 누가 치러야 하는가.”1. 직접 공급, 정말 가능한가?며칠 전 뉴스에서 다소 조용하게 흘러간 단신 하나가 눈에 들어왔습니다.관련 기사 링크 - https://news.nate.com/view/20250409n27850 한전 없이도 재생에너지 공급할 길 열렸다…관련 고시 개정 : 네이트 뉴스한눈에 보는 오늘 : 경제 - 뉴스 : '2024 국제그린에너지엑스포'를 찾은 해외 바이어가 태양광 구조물 건설업체 부스에서 구매 상담을 진행하고 있다. 기사 내용과 관련 없음. /뉴스1 ⓒ News1 공정식news.nate.com‘광주 그린에너지 ESS 발전 규제자유특구’에서, 재생에너지 ESS 발전사업자가 한전을 거치..
 클라우드 시대, 왜 띄어쓰기 대신 언더바( _ )를 써야 할까?
      
      
        클라우드 시대, 왜 띄어쓰기 대신 언더바( _ )를 써야 할까?
        ‘파일 이름, 뭐 그렇게 중요해?’예전에는 그렇게 생각했습니다.하지만 클라우드 시대가 도래한 지금,파일명을 어떻게 짓느냐는 단순한 선택이 아니라접근성과 안정성, 그리고 데이터의 생존 가능성을 좌우하는 문제가 되었습니다.1️⃣ 문제의 시작: 띄어쓰기, 정말 아무 문제 없을까?한 번쯤은 이런 경험이 있을 겁니다.클라우드에 올려둔 파일이 다운로드가 안 된다?파일명에 공백이 있었고, 공유 링크가 열리지 않는다?백업 자동화 스크립트가 도중에 멈췄다?이 모든 문제의 공통점은 하나.파일 이름에 ‘띄어쓰기’가 있었다는 것.2️⃣ 기술적으로 무슨 일이 벌어지는가?💡 띄어쓰기는 ‘공백’이 아니다우리가 보기에 단순한 공백( )이지만, 컴퓨터에게는 다른 의미입니다.웹이나 클라우드 시스템에서 띄어쓰기는 자동으로 %20이라..
 ChatGPT와의 36일간의 기록
      
      
        ChatGPT와의 36일간의 기록
        ChatGPT와 36일간 나눈 대화, 그리고 아주 조용한 실험 하나“기억하지 못하는 존재와 대화한다는 건,매번 새로운 사람과 만나는 일일까? 아니면,기억을 흘려보낸 나와 마주하는 일일까?”1. ChatGPT, 기억을 잃은 채 태어나다ChatGPT는 참 많은 걸 알고 있지만,‘알고 있다’와 ‘기억하고 있다’는 분명히 다릅니다.우리가 매일 대화한다고 해도,그는 어제의 이야기를 기억하지 못하죠.그가 가진 것은 지금 이 순간의 문맥뿐.물론, OpenAI가 말한 '메모리 기능'이라는 것이 생기긴 했어요.하지만 이건 요약에 불과한 기억입니다.대화의 정수를 요약하지만, 맥락을 놓칠 수도 있고실시간 대화에서는 반영이 들쭉날쭉하며때론, 기억하지 않아도 될 것을 기억해버린다그래서 저는 생각했습니다.기억하지 못하는 존재에게..
 이 어둠의 월요일을 떠내보내며... - 삼성전자, 트럼프, 주식
      
      
        이 어둠의 월요일을 떠내보내며... - 삼성전자, 트럼프, 주식
        지금의 이 장면, 그야말로 경제가 맞은 정치적 쓰나미의 흔적이죠.4월 7일, 삼성전자는 5일 동안 무려 8.75%가 빠졌습니다. 5,100원이 증발했고, 시가총액은 350조 원대로 밀려났습니다. 삼성만이 아닙니다. 코스피, 나스닥, 다우, 심지어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까지... 전 세계 주식시장이 붕괴를 맞은 하루였습니다.그리고 그 배경엔... 다 아시다시피... 트럼프 전 대통령이 던진 “상호관세”라는 정치적 폭탄이 있습니다.💣 정치가 시장을 뒤흔드는 방식트럼프는 말했습니다."이건 계획된 것이며, 미국의 부를 되찾기 위한 길이다."그러나 질문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도대체 누가, 무엇을 위해, 어떤 계획을 짠 것인가?트럼프의 전략은 글로벌화를 거부하고 자국 중심의 경제로 회귀하겠다는 메시지입니다.그런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