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인형의 비밀
- vhs 테이프
- 플레이타임 사
- 미스터리
- 감시 카메라
- playcare
- 플레이케어
- 파피
- 어두운 복도
- 파피 플레이타임
- 파피의 일기
- 공포 게임
- 실험체
- 실험의 끝
- 마미 롱 레그
- 프로토타입
- 공장
- 장난감공장
- 장난감 공장
- 키시미시
- 파피의일기
- 사라진 아이들
- 미스 딜라이트
- 감정 실험
- 영화 리뷰
- 파피플레이타임
- 공포
- 딜라이트
- 불길한 분위기
- 플레이타임 코
- Today
- Total
철지난 이야기
이미지 생성, 이게 가능하다고??? - ChatGPT 의 새로운 이미지 생성 모듈 본문
평소라면 초고를 작성하고 ChatGPT에게 정리를 부탁했겠지만,
오늘만큼은 다릅니다.
너무나도 신기한 기능을 목격한 그 감동을,
가감 없이 전하고 싶었기 때문입니다.
ChatGPT 의 기본 이미지 생성 모듈 - 달리(DALL·E)의 이미지 생성
기존에도 AI 이미지 생성은 즐겨 사용해왔습니다.
특히 '파피의 일기' 프로젝트에 쓰였던 이미지들은 모두 달리(DALL·E) 모듈로 제작되었습니다.
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꽤 고퀄리티의 결과물이 나와주었죠.
그러나…
그럼에도 아쉬움은 있었습니다.
일관성.
같은 캐릭터를 다시 불러오면, 어딘가 조금씩 달라지는 얼굴과 분위기.
그건 마치 매번 다른 사람이 연기하는 동일 인물 같달까요?
그런데, 새로운 ‘모듈’이 나타났습니다
이번에 테스트해본 새로운 이미지 생성 모듈은,
그 일관성 문제를 놀라울 정도로 개선해주었습니다.
제가 대학생 때 끄적이던 캐릭터인 이노와 꾸우를
이 모듈로 다시 생성해봤는데,
결과는 한 마디로 말해 "놀라움" 그 자체였습니다.
캐릭터의 유지 — 이건 단순한 기술 진화가 아닙니다
정말 신기하게도, 캐릭터의 개성이 무너지지 않은 채
다양한 씬을 연출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게다가,
한글 표현도 제법 가능합니다.
그동안 외면받아온 비영어권 사용자로서는
이 작고도 큰 변화가 얼마나 고마운지 모릅니다.
이제 걱정이 되기 시작했습니다
이런 퀄리티, 이런 편의성이라면
조만간 인스타툰이나 웹툰, 일러스트 콘텐츠의 대다수가
AI 기반으로 채워질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건 분명 '놀라움'이자 '두려움'일 수도 있습니다.
기술의 진화는 늘 감탄과 질문을 함께 가져오니까요.
마무리하며
아직은 실험적인 단계이지만,
이제는 ‘그릴 수 없는 것’보다 ‘그릴 수 있는 것’이 더 많아진 시대가
정말로 가까이 다가온 듯합니다.
그러니, 오늘은
기술이 감동이 되는 순간을 기록해두고 싶었습니다.
앞으로 이 캐릭터들로 어떤 스토리를 펼쳐낼 수 있을지,
조금은 설레는 마음으로, 조심스럽게 상상해봅니다.
'소식과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를 사는 건데, 왜 국민이 벌을 받아야 하나요? (2) | 2025.03.29 |
---|---|
기술의 편리함 너머에 있는 것 – 메타의 AI 댓글 제안 기능을 바라보며 (0) | 2025.03.24 |
양자 컴퓨터 vs. 비트코인: 미래의 공존 혹은 위기? (4) | 2025.03.18 |
2025년 네이버 블로그 저품질 대란, 이제 어디로 가야 할까? (4) | 2025.03.14 |
핵 간디와 세계 질서: 우크라이나 휴전 협정이 던지는 질문 (1) | 2025.03.13 |